※ 참고 자료 및 출처
→
▶ 한글 자모 빈도수
→ 컴퓨터 키보드의 한글배열 연구, 국립국어원, 2007.12.20, 37쪽
▶ 두벌식 글자판
→ http://mirror.enha.kr/wiki/%EB%91%90%EB%B2%8C%EC%8B%9D
→ 두벌 자판의 설계 원리와 한계 - ⑤ 자판 견주기 : http://pat.im/849
▶ 세벌식 글자판
→ 세벌식 글자판 타자기 결과물 <디지털 한글박물관>
http://www.hangeulmuseum.org/sub/future/instrument/han_instru01.jsp
→ 세벌식 390
http://jeongsw.tistory.com/215
→ 세벌식 최종
http://mirror.enha.kr/wiki/%EC%84%B8%EB%B2%8C%EC%8B%9D
→ 안마태 자판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423013
→ 세대를 나누어 살펴보는 공병우 세벌식 자판 - 5. 다섯째 세대 (1980년대 말~) : http://pat.im/962
→ [PPT] 두벌식/세벌식 자판의 짜임새와 개선 방안 : http://pat.im/1077
▶ 네벌식 글자판
→ 네벌식 글자판에 대한 공론
l http://peerless.tistory.com/6
→ 네벌식 제작자들과의 인터뷰, 부루스카이, 1973년 8월, 한글 기계화 개론 94쪽
l http://peerless.tistory.com/3
→ 네벌식 글자판 타자기 결과물 <디지털 한글박물관>
l http://www.hangeulmuseum.org/sub/future/instrument/han_instru01.jsp
→ [날개셋] 옛 표준 네벌식 타자기 흉내내기 : http://pat.im/965
혹시라도 읽으시다가 본인이 제작했다고 생각되는 컨텐츠·무단으로 사용했다고 생각하시는 컨텐츠·출처의 정확한 표기를 원하시는 분께서는 댓글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제가 고등학교 3학년 시절 보고서를 쓰면서 차용했던 것이기 때문에 출처를 명시한 부분에 있어서 부족함이 있을 수 있습니다. 출처나 저작권에 대해 명기하시거나 분명히 해주고 싶으신 분께서는 알려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느긋하게 살아보자 > 세벌식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두·세벌식 자판의 비교와 표준에 대한 의견) (4) | 2015.10.18 |
---|---|
-4 (세벌식 자판의 단점) (3) | 2015.10.18 |
-3 (세벌식 자판의 큰 틀) (0) | 2015.10.18 |
-2 (세벌식의 모아치기) (0) | 2015.10.18 |
-1 (서론부터 두벌식까지) (1) | 2015.10.18 |